전체메뉴

새소식

HOME > 광진소개 > 광진소식 > 새소식

물 이야기(Ⅳ) , 가족과 함께하는「아리수 탐구교실」열어

부서
디지털정보과
작성자
등록일
2008-11-17
조회수
6847
첨부파일
 

물 이야기()


        - 지구에 물은 얼마나 있나요?


        - 물의 단위는 어떻게 되나요?


 



지구에 물은 얼마나 있나요?


   우리가 흔히 “물 쓰듯 한다”라는 말을 하듯이 물은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자원 가운데 하나입니다. 실제로 지구표면의 3/4은 물로 덮여 있어서 우주에서 보면 지구는 파란색의 물로 된 공처럼 보입니다.




   지구에 있는 모든 물의 양은 13억 8천5백만㎦ 정도인데 이 중 97%인 13억 5천만㎦이 바닷물이고, 인간과 동식물이 쓸 수 있는 민물은 불과 3%인 3천5백만㎦입니다.




   민물 중에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69%가 빙산과 빙하이고, 땅속에 지하수로 29%가 있으며, 우리들이 흔히 볼 수 있는 개울이나 강, 호수의 물은 불과 2%밖에 되지 않습니다.




   지구 전체의 물은 많지만 우리가 직접 쓸 수 있는 하천과 강의 물은 겨우 1,200㎦로 지구 전체 물 중에서 불과 0.0001%밖에 되지 않는 양이므로 정말 아껴 써야 합니다.


<자료 : 「자연의 물 인간의 물」1994, 최영박>




물의 단위는 어떻게 되나요?


   물과 같은 액체의 단위는 부피와 무게로 재는데, 보통은 씨씨(㏄), 리터(L), 갤런(gal) 등 부피단위로 표시를 합니다.




   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씨씨와 리터를 많이 쓰고, 다량일 때는 ㎥을 쓰는데, 1㎥가 1톤(t)이 됩니다. 우리들이 흔히 마시는 물컵은 200㏄, 청량음료 페트병은 1.5L, 드링크제 같은 작은 음료병은 대개 100㎖가 됩니다.




☞ 물의 단위


   물 1㎦ = 10억t, 물 1㎥ = 1t = 1000ℓ, 물 1㎤ = 1cc = 1g




   ※ 다음편에는 ‘물에도 맛이 있어요’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족과 함께하는「아리수 탐구교실」열어


        - 7.22 ~ 8.22까지 상수도연구원과 6개 아리수정수센터에서 실시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본부장 진익철)에서는 여름방학 중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족과 함께하는『 재미있는 아리수 탐구교실 』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아리수 탐구교실 운영은 오는 7.22(화)~8.22(금)까지 초등학생 및 가족들을 초청하여 상수도연구원과 6개 아리수정수센터에서 운영될 계획이며, 자세한 문의나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오는 7.21(월)까지 전화나 인터넷(http://arisu.seoul.go.kr)을 통해 상수도연구원이나 가까운 아리수정수센터에 신청하면 되고 참가비는 무료이다.


특히, 강북아리수정수센터(전화 3146-5842~3)에서는 영어로 배우는 물의순환(water cycle)과정을 운영하여 자녀들의 영어학습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리수 탐구교실에서는 “평생을 마셔도 좋은 서울의 수돗물”, ‘아리수’를 만드는 원리를 배우고 탁도, 잔류염소, pH 등 수질검사를 직접 해보는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그 밖에 상수도연구원 또는 아리수정수센타 견학 등 현장학습도 함께 이루어진다.


진익철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매년 많은 학생들이 방학을 맞아 아리수 탐구교실에 참가하고 있으며 과학실험과정 프로그램 외에 상수도연구원이나 아리수정수센터 견학 등을 통해 수돗물 생산과정을 직접 볼 수도 있어 우리 자녀들에게 아주 유익한 체험학습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Insert title here

※ 로그인 후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