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환경과

HOME > 광진소개 > 행정조직/청사안내 > 부서 안내 > 환경과 > 행정자료실

세계자연보전총회(WCC) 한국 유치 성공

부서
환경과
작성자
등록일
2009-12-30
조회수
911
첨부파일

 

 

세계자연보전총회(WCC) 한국 유치 성공

                                                                                                                                                                  (2009. 11. 27)

 

□ 우리나라가 2012년 제5차 세계자연보전총회(WCC: World Conservation Congress)를 유치하는데 성공하였다.

     ○ 환경부에 따르면 11월23일∼25일 스위스 글랑에서 개최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이사회에서 2012년 제5차 세계자연보전총회 개최지를 제주로 결정하고 이를 26일 공식 발표하였다.

 

 

□ 세계자연보전총회는 환경 분야 국제회의 중 가장 대규모회의로서 2008년 창원에서 개최된 람사르 총회의 4배 이상 규모로, IUCN 160개 회원국에서 정부기관, NGO, 전문가 등 1,100여개 단체만 여명의 인원이 참가한다. 특히 4년에 한 번씩 개최되므로 환경올림픽이라 불리기도 한다.

     ○ 총회에서는 전 회원들이 참석하는 전체회의와 함께 지역회의, 워크숍, 전시회 등 900여 개 부대행사가 열흘간 열리게 되며 자연생태보전, 생물다양성 제고, 기후변화 대응 등 자연환경을 매개로한 환경문제 전 분야에 대한 폭 넓은 논의가 진행 된다.

 

 

□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G20 회의 유치로 세계경제의 새로운 질서를 주도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면, 세계자연보전총회 유치로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도 선도하게 되었고 국제사회로부터 환경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총회에는 세계 곳곳에서 10,000여명이 넘는 인원이 우리나라를 찾게 되므로 직접적인 경제효과 만도 900억 원 이상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 또한, 세계자연보전총회의 의미와 부합하는 생태관광, 2010년∼ 2012년 한국 방문의해, 2012년 여수엑스포와 연계하여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한다면 그 효과는 훨씬 클 것으로 보인다.

     ○ 더욱이 총회 참석과 준비를 위해 유럽 아시아 할 것 없이 전 세계 곳곳에서 우리나라를 찾을 예정이므로 우리나라와 제주도를 전 세계에 홍보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호가 될 수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처음 유치를 결정하고 유치활동을 시작했을 때만해도 유치가능성이 매우 낮았다고 한다.

     ○ 경쟁지인 멕시코 칸쿤이 세계적인 관광휴양지로서 지명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4차 총회에

이어 재도전하였고, 유치활동도 먼저 시작하였으며, 96년 이후 아시아에서 두 번이나 개최된 점 등 모든 면에서 우리가 불리한 상태였다.

     ○ 금년 5월까지만 해도 멕시코 관계자들은 칸쿤이 이미 개최지로 결정된 것처럼 자신감을 보였다고 한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환경부장관의 IUCN 사무총장 면담을 시작으로 유치활동을 시작한 이후 이러한 열세를 극복하기 위하여 환경부, 외교통상부 등 중앙정부와 제주도, IUCN 한국위원회 등이 중심이 되어 우리가 가진 실질적인 장점을 알리는데 최선을 다하였다.

 

 

우선 환경부장관을 비롯한 관계부처 장관, 국회의원, 산업계가 참여하고 이홍구 前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유치위원회와 실무위원회(위원장: 환경부차관)를 구성하여 치밀한 유치 전략을 수립하였다.

     ○ 우리나라의 강점으로 자연환경을 잘 보전하고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하는 환경 선진 국가로서, UNEP 환경장관회의, 람사르 총회, ESCAP 환경각료회의 등 다수의 국제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을 내세우고

     ○ 제주도의 강점으로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아름다운 섬으로 범죄와 테러가 없는 평화의 섬이며, 180여개 국가의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며 대규국제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가진 점을 내세웠다.

     ○ 특히 국가발전의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 정책이 환경보전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IUCN의 비전과도 맞아 떨어진 다는 점을 중점 홍보하였다.

 

 

□ IUCN 사무국과 WCC 개최지 결정 투표권을 가진 36명의 IUCN 이사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시켰으며, 총재와 사무총장 및 이사 등을 국내에 초청하거나 외교공관에서 이들을 직접 방문하여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유치 성공여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IUCN 사무국 실사단의 개최지 현지 실사에 대비하여 철저한 준비를 하였다.

     ○ 그 결과 회의시설, 식당 및 호텔 종사자들의 언어문제와 회의장소인 제주 ICC가 외진 곳에 위치한다는 것 이외에는

     ○ 사무국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 개최능력, 자원 동원 능력,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 능력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칸쿤에 비하여 우위를 인정받아 평가 점수가 88.55점으로 칸쿤(76.52)보다 12점 이상 앞섰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번 유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제주도민을 비롯한 우리 국민, 전문가들과 사회각층의 지지였다고 할 수 있다.

     ○ 국민 130만 명과 국회의원 전원의 유치지지 서명부는 실사단을 감동시키기 충분하였고, 분위기를 반전시키는데 성공하였다.

     ○ 우리 국민 모두의 노력이 모아졌기에 결국 세계자연보전총회를 유치한 것이라고 환경부 관계자는 평가하였다.

 

 

□ 환경부는 향후 유치위원회를 준비위원회로 전환하고 내년 상반기에 있을 IUCN과의 개최국 합의서(MOU) 서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2012 세계자연보전총회 개최 준비에 들어갈 계획임을 밝혔다.

     ○ 의제 발굴을 위하여 전문가 그룹을 형성하고, IUCN과의 협력 강화를 위하여 협력사업을 확대하고, 국내 관련 단체의 IUCN 가입을 독려하는 등 IUCN 한국위원회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 내년 상반기 중에 로드맵을 만들어 우리나라가 추진하는 녹색성장 정책을 홍보하고, IT 강국으로서의 강점 등을 활용하여 2012 세계자연보전총회를 역대 가장 훌륭한 회의로 만들기 위하여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국내․외 환경정보 - 환경부>

 

 

Insert title here

※ 로그인 후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