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환경과

HOME > 광진소개 > 행정조직/청사안내 > 부서 안내 > 환경과 > 행정자료실

신재생에너지 - 해양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

부서
환경과
작성자
등록일
2009-07-23
조회수
1149
첨부파일

2.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

(1) 해외현황

• 파력발전

- 영국에서 2MW급 상용 파력 발전장치(Osprey) 개발

- Azores(포르투갈), Islay(영국) 파력 발전장치 운영

- 2MW급 부유식 파력 발전장치(HYDRA)를 연구 중

• 조력발전

- 프랑스 La Rance에서 240MW급 조력 발전소 운영 중

* 1966년에 건설하여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운영 (시설용량 240MW, 벌브형 수차, 평균 가동율 97%)

• 조류발전

- 영국, 미국, 이탈리아,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해상에서 실증사업을 통해 상용화 진입을 모색하고 있음

* 영국 : 가장 활발히 전개하여, “SEAGENS 프로젝트”를 통해 2008년까지 1MW 상용발전을 목표로 정부와 기업(MCT社) 공동펀드를 조성ㆍ추진 중

• 복합발전시스템 기술개발

- 영국 Wavegen사는 연안고정식 파력 발전과 풍력 발전장치를 조합하여 3.5MW급(WSOP3500) 발전장치 제안

- 일본은 초대형 해양구조물 상부에 태양광 및 풍력발전, 수면에서는 파력발전, 수면하에서는 조류발전하는 복합발전방식 제안

- 해양에너지 추정 발전단가는 평균 8~9¢/㎾h 수준임

 

[에너지원별 측정 발전단가(단위: ¢/㎾h)]

구분

Oil

력ㆍ조류력

파력

풍력

태양

지열

바이오

소수력

최저

3.0

7.0

3.0

2.5

20.0

7.0

2.9

5.0

최고

5.0

10.0

12.0

10.0

40.0

9.0

8.0

10.0

평균

4.0

8.0

9.0

5.0

26.0

8.0

6.0

7.0

 

(2) 국내현황

○ 기술개발 현황

• 해양에너지의 기술개발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개발 및 이용ㆍ보급 촉진법”에 따라 ’88년부터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기술개발 수행

• 해양특성 평가를 위해 다양한 현장조사, 자료분석, 수치모델, 및 수리모형 실험기술 개발 보유

- 첨단 IT기술과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차세대 종합해양특성 조사 시스템을 수립 중

• 조력ㆍ조류력ㆍ파력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와 요소기술을 개발하여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조력, 조류력, 파력 에너지 분포를 해석하고 변동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조력ㆍ조류력에 대한 핵심 요소기술의 실용화 연구 수행 중

- 조류발전 및 파력발전 실증연구 추진 : 100㎾급 시험 발전소 건설 추진중

 

(3) 국내 이용현황

• 조력발전 : 시화호 수질개선과 해양에너지 개발을 목적으로 254천㎾급 조력발전소 건설중

• 조류발전 : 울돌목을 재상으로 실용화 연구 추진중 (100MW급 설치 추진중)

 

(4) 향후 계획

'97 ~ 2004

2005 ~ 2009

해양에너지 자원 정밀 조사

• 적정 플랜트 시스템 기본 설계

• 시스템 성능해석 및 운전제어 기술개발

저가 고효율 발전시스템 개발

• 시범 플랜트 설치 및 실증실험

• 복합 발전 시스템 기술 개발

 

[해양에너지 장기 개발목표(단위: 천 kW)]

구분

1단계(2000~2010)

2단계(2011~2020)

3단계(2021~2030)

조력에너지

720

1,320

2,040

조류에너지

100

200

400

파력 및 온도차 에너지

50

100

200

누계

870

1,620

2,640

*근거: 해양수산부 해양한국(Ocean Korea) 21

 

 

<출처>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Insert title here

※ 로그인 후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