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전체메뉴

영양정보

HOME > 건강정보 > 건강정보 > 영양정보

광진구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떡 간식류" 관련 제공 안내사항

부서
보건위생과
작성자
전화번호
02-450-1924
수정일
2025-05-27
조회수
86
첨부파일

광진구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떡 간식류관련 제공 안내사항

2025.5.26

 

[ 영유아 질식 사고 현황 ]

- 질식사고 중 약 60%는 장난감 등 비음식물에 의해, 40%는 떡, 사탕, 견과류, 포도 등 음식물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국내 법의부검 통계(2001~2022)에서는 20년간 어린이집 내 영유아 음식물로 인한 질식 사망 43건이며, 3~4세 아이 1명이 5cm 크기의 떡에 의한 기도막힘 질식사로 확인되었습니다.

- 특히 4세 이하 유아는 기도가 좁고, 무엇이든 입에 넣으려는 특성이 있어 음식물이나 작은 물체로 인한 질식 위험이 높습니다.

영유아는 아직 삼킬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고 무엇이든 입으로 가져가 먹으려고 하기 때문에 더욱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 1-2세 떡류 간식 대체 가능 메뉴 안내 ]

1-2세의 영아의 안전한 급식제공을 위하여 떡류 간식에 대해 대체 메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대체 메뉴 사용을 희망하시는 기관에서는 제공 열량과 단백질을 확인하여 수정 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6월 식단부터 1-2세 대체 가능 메뉴 제공


날짜

기존 식단

대체 가능 식단

열량 / 단백질

5/28()

(호박)설기/매실차

찐단호박/매실차

390/15

6/4()

쑥개떡/우유(2)

스틱빵(1,2,5,6)/우유(2)

417/16

6/11()

기정떡/유자차

찐고구마/유자차

415/13

6/18()

백설기/우유(2)

모닝빵(1,2,5,6)/우유(2)

425/15

6/23()

떡구이(&조청)(5)

찐감자/매실차

392/16

6/25()

절편/오미자차

스크램블에그(1,2,5)

395/18


 

[ 식단의 떡 간식류 제공 안내 ]

우리 센터에서는 아이들에게 한국 전통 식문화를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제공하고자 현재 멥쌀류 중심의 떡을 식단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떡은 복합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에너지 공급원이며, 적절한 식감이 아이들에게 씹는 자극을 제공해 저작 능력, 혀의 움직임, 턱 근육 발달, 오감 자극 등 식사기술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식입니다.

최근 아이들이 너무 부드럽거나 삼키기 쉬운 음식만 섭취하여 씹는 능력이 부족해지고 치아의 부정교합과 턱관절 문제 등의 발생율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저작능력을 높일 수 있는 음식을 통한 적절한 경험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떡 간식류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 아래의 안전 제공 지침을 반드시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어린이 급식소의 떡 간식안전 제공 방법 ]

(1) 떡은 연령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잘라 제공해주시기 바랍니다.

- 영아 1*1cm 유아 2*2cm 크기로 잘라 제공

*아이별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제공 크기 조정 필요(더 작은 조각으로 자른 후 먹이기 등)

(2) 떡을 제공하기 전, 입안과 식도가 건조하지 않게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세요

(3) 아이들이 간식을 섭취하는 동안 주의깊게 관찰하여 주세요.

- 간식을 급하게 먹는지, 입에 머금고 있는지, 사래가 걸리지 않는지 등 확인

- 특히, 낮잠을 자는 4세 이하의 아이들은 잠이 깨고, 반드시 물을 마신 후 섭취하도록 지도

(4) 아이가 작은 조각의 음식을 충분하게 씹고, 먹을 때 급하게 먹지 않도록 지도해주세요.

(5) 입안에 음식물을 넣고 있을 때 장난치거나 놀라게 하지 않도록 지도해주세요.


[ 떡 간식류의 어린이 급식소 변경 요청시 식단 감수 신청안내]

기관에서 떡 간식류 제공을 원하지 않아 변경하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식단 감수를 우리 센터에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예시: 백설기 , 시리얼&우유, 찐감자, 연두부&양념장 등)


 

[ 영유아 질식사고 예방방법 ]

음식물은 먹기 쉬운 크기로 잘라 먹입니다.

땅콩 등 견과류는 잘 못 먹으면 기관지에 들어가기 쉬우므로 3세까지는 먹이지 않습니다.

급정차 할 가능성이 있는 차 안에서는 먹이지 않습니다.

눕거나 걷거나 놀면서 먹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음식물을 던져 입으로 받아먹는 것과 같은 장난 형태의 방법으로 먹지 않도록 지도합니다.

식사 중에는 영유아를 깜짝 놀라게 하지 않고, 영유아에게 먹는 것을 억지로 강요하지 않습니다.

조금 큰 어린이가 영유아에게 위험하게 음식물을 주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연하장애가 있는 장애아는 음식물에 의한 질식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충분히 주의합니다.

연하(硏下) : 음식물을 입에서 식도를 거쳐 위에 보내는 기능

**농식품정보누리**

 

[ 어린이 질식사고 시 응급조치법 ]

영유아들은 질식사고가 발생해 3~6분 정도 기도가 막히면 사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반드시 응급조치법을 익혀야 합니다.

음식물에 의한 질식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다른 사람에게 119 신고를 부탁하고 대상별(영유아, 유아)로 질식사고 대처방법으로 응급처치법을 시행해야 합니다.

 

 

아이들의 안전한 식생활을 위하여 각 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추후, 정부 지침 및 식생활관리원의 지침이 변경되면 즉각 공지드리고 식단에 반영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광진구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 02-3409-7211

- 광진구보건소 식품안전팀 - 02-450-1924


Insert title here

* 로그인 후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