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목적
빈곤, 고령 등 건강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보건의료문제를 발견하고,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활동, 보건교육 등 지속적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통한 자가건강관리능력 향상 및 건강 형평성 제고를 위함
사업안내
- 기간 : 연중
- 대상 : 관내 건강취약계층 (건강관리서비스 이용 및 접근이 어려우면서, 건강관리가 필요한 지역사회 주민)
- 연령 및 경제적 기준 : 만 65세 이상 노인,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
- 사회적 특성 : 독거노인, 다문화 가족, 한부모 가족, 조손가족, 북한이탈주민 등
- 건강 특성 : 관리되지 않는 만성질환자 및 만성질환 위험군, 장애인, 재가암환자 등
- 제외기준 : 이미 질병 및 기능상태가 악화된 노인 장기요양등급 판정 등급자(1~5등급)는 제외 ( ※ 단, 인지지원 등급자는 포함)
- 방법 : 대상자 신규등록 및 기초건강면접조사표에 따른 군분류 실시 후, 군별 방문주기에 따라 지속 방문건강관리서비스 제공
- 인력 : 동별 방문간호사
- 내용
- 포괄건강평가(생활습관, 만성질환이환조사, 치매선별검사, 우울선별검사 등)을 통한 건강위험요인 및 건강문제 파악
- 혈압, 혈당 등 기초 건강상태 측정, 건강 상담 및 교육(만성질환, 허약예방, 우울 등), 건강검진 결과 상담 및 관리
- 동별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경로당 어르신 건강관리
- 필요시 보건 복지 통합서비스 연계
보건소내 자원연계
- 1차 진료실, 건강동행서비스, 건강검진, 구강검진, 금연클리닉, 심뇌혈관예방관리, 예방접종, 영양플러스, 모자보건 및 암·희귀난치질환 의료비 지원 등
보건소외 자원연계
- 안질환 의료비 지원, 무릎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정신건강복지센터, 치매안심센터, 복지관, 자원봉사센터, 각종 후원단체를 통한 지원, 지역의료기관 연계, 돌봄SOS, 사회복지장애인과, 복지정책과, 어르신복지과, 가정복지과 등 복지자원 및 사례관리 연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