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주민센터자료실

HOME > 구의3동 > 우리마을소식 > 동주민센터자료실

서울시, 가을철 쯔쯔가무시증 주의 당부

부서
구의3동
작성자
수정일
2010-09-06
조회수
533
첨부파일

    서울시, 가을철 쯔쯔가무시증 주의 당부


                        - 서울시, 발열성 질환인 쯔쯔가무시증 유행 시기(보통 9월~11월)를 
                     맞아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당부


                         - 성묘, 벌초, 가을철 단풍놀이 등 야외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거나 눕지 말 것을 권고



 


  □ 서울시는 주로 가을철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발열성 질환인 쯔쯔가무시증 유행 시기(보통 9월~11월)를 맞이하여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을 당부하였다.




  □ 성묘, 벌초, 가을철 단풍놀이, 도토리ㆍ밤 줍기, 고구마, 콩 등 밭작물 수확, 과수원의 과일 수확, 등산, 캠프 등 야외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거나 눕지 말 것을 권고하였다.




  □ 쯔쯔가무시증의 매개충은 털진드기과 진드기 유충으로, 감염된 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며 잠복기는 6~18일 이고 사람간 전염(감염) 되지 않아 격리 및 소독은 필요 없다.





쯔쯔가무시증 발생 현황




  전국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수                           (명)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09년


4,995


176


414


139


85


187


151


193


436


43


202


699


708


680


369


500


13


2010년


145


14


10


5


10


1


8


2


31


6


5


16


5


11


11


10


0


(전국 2009년, 2010년 7월말 환자 발생수 비교)


전국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수(1996년~20

09년)


쯔쯔가무시증 월별 환자 발생 현황


  □ 쯔쯔가무시증 환자발생은 9월부터 발생이 증가 하여 10~11월에 정점을 보인 후 12월부터 감소하는 추세다.




  □ 서울시의 경우 쯔쯔가무시증 환자발생은 '07년 164명, '08년 177명, '09년 176명이 발생하였다.


      '09년 7월말까지 12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나 10월~11월에  급격히 증가하여 '09년도 총176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10년 7월말 현재 14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작년 수준 정도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수 


















































월별


년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2009


9


0


1


0


1


1


0


1


1


65


89


8


176명


2010


2


2


0


1


3


4


2


 


 


 


 


 


14명


   ❖ (서울시 2009년, 2010년 7월말 환자발생수 비교)


  □ 쯔쯔가무시증은 주로 논과 밭이 많이 분포되어 있고 쥐나 설치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서 많은 환자 발생이 있고 성묘, 벌초, 도토리ㆍ밤 줍기, 주말농장, 텃밭 가꾸기, 등산, 캠프 등 야외활동 증가로 도시지역 거주자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서울시는 야외 활동 중 쯔쯔가무시증 감염 예방을 위하여 다음 사항을 각별히 주의하도록 당부하였다.





Insert titl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