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주민센터자료실

HOME > 구의3동 > 우리마을소식 > 동주민센터자료실

청년CEO가 생각하는 최고의 사업아이템은?

부서
구의3동
작성자
수정일
2010-08-06
조회수
786
첨부파일

청년CEO가 생각하는 최고의 사업아이템은?


- 서울시,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지원자 3,250명 대상 조사결과 발표


- 예비CEO가 준비하는 창업아이템 중 최다는 디자인업종, 다음이 스마트폰 어플개


- 서울시 청년창업센터 입주자대상 창업 준비기간, 창업자금, 요청지원책 등 조사


- 경제상황 및 취업의 어려움으로 대학(원)재학 중 창업준비하는 경향 늘어




☐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청년CEO가 꼽는 최고의 사업아이템은 무엇일까?




   서울시는 올하반기에 진행한 「청년창업 1000 프로젝트 2기」에 지원한 3,249명의 지원서를 검토한 결과 550명이 ‘디자인 및 공예관련’ 창업을 준비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개발과 같은 소프트웨어개발(388명) 패션디자인 및 인터넷쇼핑몰 창업(372명) 교육컨텐츠 개발 및 서비스(348명)가 그 뒤를 이었다고 밝혔다.


 ○ 또한 1인 기업이 전체의 59.6%인 1,936명이었으며, 2인 기업은 25.4%에 해당하는 825명(팀)으로 경제 및 사회상황을 고려해 최초 창업시에는 소규모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기 949명대상 설문, 학생신분 가장 많고 창업준비기간은 3~12개월이 69%>


☐ 서울시는 이와 함께 지난 7월 선발한 「청년창업1000 프로젝트 2기」 지원대상자 932명에 대한 창업준비 상황 관련 설문조사 결과도 함께 발표했다.


○ 「청년창업1000프로젝트」는 우수한 창업 아이템은 보유하고 있지만 경험 부족과 어려운 경제 여건 등으로 창업을 미루고 있는 예비 창업자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 2기에 선정된 예비CEO는 총949명으로 이 중 469개 기업은 강남청년창업센터에 480개 기업은 강북청년창업센터에 입주해 있다.




☐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에 참여한 입주자 932명 중 대학 및 전문대졸이 570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원 졸이 118명이었으며 대학 재학 중인 입주자도 96명이나 되었다.


전공분야는 예술계열이 291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공계열이 260명 , 인문계열이 202명으로 이는 많은 청년예비CEO들이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지식을 활용해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데서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 창업 전 종사 직종을 조사 한 결과 학생이 151명으로 가장 많았고, 사무관리직과 연구개발직이 각각 148명, 141명으로 뒤를 이어 최근 어려워진 취업상황으로 인해 대학재학시부터 창업을 준비하는 경향이 보였다.




최종학력


































 



박사


대학원졸


(석사)


대학원재


대학/


전문대졸


대재


고졸


무응답



932


4


118


71


570


96


66


7


%


100


0.4


12.7


7.6


61.2


10.3


7.1


0.8








 






전공분야




























 



이공계열


사회계열


인문계열


예술계열


무응답



932


262


154


202


291


23


%


100


28.1


16.5


21.7


31.2


2.5








창업전 종사 직종





































 



무관리직


영업직


기술직


연구개발직


생산직


학생


자영업


기타



932


148


60


96


141


5


151


53


278


%


100


15.9


6.4


10.3


15.1


0.5


16.2


5.7


29.8








전공 또는 전 직장 경력과 현재 준비하고 있는 창업과의 연관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유관하다가 전체 932명 중 738명(79%)으로 소규모 및 생애 첫 창업의 경우 보유 지식ㆍ경험과  창업아이템의 연관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 가능했다.


 ○ 창업준비기간은 3~6개월이 320명, 6~12개월이 319명으로 이 두기간이 전체의 68.6%를 차지해 창업준비기간이 비교적 짧았다.


 ○ 현재 사업단계가 사업모델정립단계라는 답변이 443명으로 47.5%, 제품개발단계가 283명이었으며 이미 시장진입 초기단계라는 대답도 155명이나 됐다.




 ▶ 창업준비기간


































 



3개월미만


3~6개월


 


6~12개월


1년~2년


2년이상


무응답



932


121


320


 


319


114


48


10


%


100


13


34.3


 


34.2


12.2


5.2


1.1










<가장 필요한 지원은 자금과 판로개척, 실질적 사업성패는 판로와 철저한 준비가 좌우>


☐ 예비 CEO들이 생각하는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설문참가자의 답변 1,203개(중복답변가능) 중 26.8%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판로확보’였다. 그다음이 사전준비 창업경험 및 자질 자금조달능력을 뽑았다.     


 ○ 현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지원분야는 ‘자금지원’이 전체의 40.5%에 해당하는 483개의 답변과 판로개척지원이 24.6%인 293개 답변으로 이 두 항목이 전체의 65%를 차지해 청년들이 서울시를 비롯한 정부기관으로부터 자금지원과 판로개척지원에 대해 가장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또한 일단 창업을 하고 나면 제품과 서비스판매를 위한 판로확보와 철저한 사업아이템에 대한 준비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창업성공요소 (중복답변가능)































 



자금조달능력


판로확보


우수인력확보


사전준비


창업경험과 자질


기타



1,203


208


322


164


268


209


23


%


100


17.3


26.8


13.6


22.3


17.4


1.9










 ▶ 가장 필요한 지원 분야 (중복답변가능)


































 



자금지원


정보제공


로개척지원


창업교육


타기관 교류지원


전문가& 기관네트워크


기타



1,192


483


98


293


62


124


121


11


%


100


40.5


8.2


24.6


5.2


10.4


10.2


0.9










☐ 창업시 투자할 금액에 대해서는 1~3천만원이 378명이었고, 1천만원 미만이 331명으로 1인 또는 2인기업으로 시작해 그 규모를 늘릴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 투자자본금 중 자기자본 비율은 50%이상이라고 답한 사람이 412명으로 약 44%에 달했다.




  ▶ 창업시 투자금액




























 



1천만원 미만


 


1~3천만원


3~5천만원


5천만원이상



932


331


 


378


129


94


%


100


35.5


 


40.6


13.8


10.1








☐ 마지막으로 창업교육 강여부를 묻는 질문에 627명인 67%가 수강하지 않았다고 답변해 창업전문 교육의 확대 및 필요성 홍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창업교육 수강 여부






















 



창업교육 수강


창업교육 미수강


무응답



932


273


627


32


%


100


29


67


4










☐ 서울시 박대우일자리정책담당관은 “2기 청년창업가 모집 분석을 통해 청년 창업가들의 필요와 요구를 파악해 수요자 지향의 창업지원을 강화하고, 지원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여 선발된 청년창업가 모두가 성공한 창업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청년창업1000프로젝트


우수한 아이템을 가진 20~30대 청년들에게 창업준비공간, 공용장비, 아이템개발비, 교육ㆍ컨설팅 등을 획기적으로 지원하여 성공창업을 유도, 청년실업극복 및 서울산업경제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창업지원프로젝트


 - 선발 분야 : 지식, 기술, 일반 창업 분야 예비창업자


 - 위     치 : 강북청년창업센터(마포구 성산동 275-3) 강남청년창업센터(송파구 문정동 Garden-5)


 - 보육 규모 : 949기업(강북:480기업, 강남:469기업) ※ 2010.7월말 기준



Insert titl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