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동주민센터소식

HOME > 능동 > 우리마을소식 > 동주민센터소식

한파 대비 요령

부서
능동
작성자
수정일
2017-12-08
조회수
769
첨부파일
한파특보시 대비요령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면 심장과 혈관계통, 호흡기 계통, 신경계통, 피부병 등은 급격히 악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유아, 노인 또는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난방에 신경써야 합니다.
혈압이 높거나 심장이 약한 사람은 노출부위를 따뜻하게 하고 특히, 머리 부분이 따뜻하도록 모자나 귀마개, 목도리 등을 착용해야 합니다.
외출 후 손발을 씻고 과도한 음주나 무리한 일로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당뇨환자, 만성폐질환자 등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여 관절의 가동(稼動) 범위를 넓힘으로써 부상을 방지하여야 합니다.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될 때는 수도꼭지를 조금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하여 동파사고를 막아야 합니다.
수도계량기 보호함 내부는 헌옷으로 채우고, 외부는 테이프로 빈틈없이 막아 찬 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합시다.
복도식 아파트는 수도계량기 동파가 많이 발생하므로 수도계량기 보온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수도관이 얼었을 때는 갑자기 뜨거운 열을 가하지 말고, 헤어드라이기 등 온열기를 이용하여 녹이거나, 미지근한 물로 녹여야 합니다.
※ 특보기준
특보기준 명칭, 주의보, 경보, 한파에 대해 설명하는 표 입니다. 명칭 주 의 보 경 보
한파 10월~4월 사이의 기간에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 이상 하강하여 3℃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10월~4월사이의 기간에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하강하여 3℃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5℃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한파발령(주의보/경보) 때는?

1. 건강관리는

손가락, 발가락, 귓바퀴, 코끝 등 신체 말단부위의 감각이 없거나 창백해지는 경우에는 동상을 조심해야 합니다.
심한 한기, 기억상실, 방향감각 상실, 불분명한 발음, 심한 피로 등을 느낄 때는 저체온 증세를 의심하고 바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면 심장과 혈관계통, 호흡기 계통, 신경계통, 피부병 등은 급격히 악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유아, 노인 또는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난방에 신경써야 합니다.
혈압이 높거나 심장이 약한 사람은 노출부위를 따뜻하게 하고 특히, 머리 부분이 따뜻하도록 모자나 귀마개, 목도리 등을 착용해야 합니다.
외출 후 손발을 씻고, 과도한 음주나 무리한 일로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당뇨환자, 만성폐질환자 등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동상에 걸렸을 때는 죄는 신발이나 옷을 벗고 따뜻한 물로 씻은 후 따뜻하게 보온을 유지한 상태로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동상부위를 비비거나 갑자기 불에 쬐어서는 안 됩니다.
2. 운동 때는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여 관절의 가동(稼動) 범위를 넓힘으로써 부상을 방지하여야 합니다.
< 한파 주의보, 경보 발령기준 >

한파 주의보 :10월~4월 사이의 기간에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 이상 하강하여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한파 경보 : 10월~4월사이의 기간에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하강하여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5℃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준비운동 강도는 몸에서 약간 땀이 날 정도가 적당하며, 실내에서 해야 합니다.
운동은 가능한 실내에서 하는 게 부상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옷을 겹쳐 입되 많이 입지 말아야 합니다.
특히 고혈압 등 만성병 환자는 실내에서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엔 체온 유지를 위해 10~15%의 에너지가 더 소비되므로 운동 강도를 평소의 70~8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술은 이뇨(利尿)·발한(發汗) 작용으로 체온을 떨어뜨리므로 등산·스키 등 운동 중에는 술을 마시지 맙시다.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로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는 등 충분히 보온을 하여 감기를 예방합시다.
3. 수도계량기 및 수도관 관리는

수도계량기 보호함 내부는 헌옷으로 채우고, 외부는 테이프로 빈틈없이 막아 찬 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합시다.
복도식 아파트는 수도계량기 동파가 많이 발생하므로 수도계량기 보온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될 때는 수도꼭지를 조금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하여 동파사고를 막아야 합니다.
마당과 화장실 등의 노출된 수도관은 보온재로 감싸서 보온해야 합니다.
수도관이 얼었을 때는 갑자기 뜨거운 열을 가하지 말고, 헤어드라이기 등 온열기를 이용하여 녹이거나, 미지근한 물로 녹여야 합니다.
4. 보일러 배관 관리는

보일러 밑의 노출된 배관은 헌 옷 등으로 감싸서 보온하여야 합니다.
장기간 외출 시에는 온수를 약하게 틀어 물이 한 방울씩 흐르게 하여 동파사고를 막아야 합니다.
관이 얼었을 때는 따뜻한 물이나 헤어드라이기 등 온열기를 이용하여 서서히 녹여야 합니다.
5. 외출 때는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합니다.
자동차 이용 시 낮에 외출하고 될 수 있으면 혼자 움직이지 말아야 합니다.
가족에게 행선지와 시간계획을 미리 알려둡시다.
되도록 간선도로를 이용하고 지름길이나 뒷길을 피하여야 합니다.
만약 자동차에서 고립됐을 때는
► 가능한 수단을 이용해서 구조연락을 취하고.
► 동승자가 있으면 체온을 이용하여 추위를 막아야 합니다.
► 차례로 수면을 취하고 항상 한 사람은 깨어있어, 구조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 야간에는 실내등을 켜 구조요원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 구조요원이나 항공기의 식별이 쉽도록 색깔 있는 옷을 눈 위에 펼쳐 놓아야 합니다.
6. 자동차의 안전대책은

도로의 결빙에 대비하여 스노체인 등 예방조치를 마련하고, 시트를 높이고 앞 유리 성에를 완전히 제거하는 등 시야를 넓혀 빙판길 등 만약의 돌발 사태에 대비합시다.
미끄러운 길에서 수동변속기 차량은 2단 기어에 반 클러치를 사용하고, 자동변속기 차량은 가속기를 서서히 밟아야 하며, 바퀴가 헛돌지 않도록 앞바퀴는 직진상태로 출발하여야 합니다.
커브 길을 돌 때는 미리 속도를 줄이고 기어변속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빙판에서 멈출 때는 엔진브레이크로 속도를 완전히 줄인 후 풋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멈춰야 합니다.
평소보다 저속 운행하고, 차간거리를 확보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운전을 합시다.
스노체인, 염화칼슘, 삽 등 자동차 월동용품을 준비하고, 부동액, 축전지, 각종 윤활유 등 자동차 상태를 수시로 점검 하여야 합니다.
7. 농촌․축사에서는

보리류, 채소류, 과일류 등 종류별로 적절한 보온을 하고, 온실작물 동해 방지조치를 해야 합니다. (난방, 온실커튼, 물 커튼, 축열 주머니 등)
온실출입문은 이중으로 설치하고 북쪽 벽에는 보온벽이나 방풍벽을 설치해야 합니다.
하우스 주변에 단열재 및 보온덮개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정전으로 보온시설 가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숯 등을 피워 보온해야 합니다.
기온 급강하에 대비하여 보온기자재 등은 사전에 점검․정비를 철저하게 해야 합니다.
축사 등에는 샛바람 방지를 위한 보온덮개와 난방기를 준비해야 합니다.
축사, 하우스 등의 급수시설 동파방지를 위하여 사전점검과 보온을 해야 합니다.
한파 관련 기상특보를 수시로 청취하고, 미리 대비해야 합니다.
8. 양식장에서는

축제식 양식장은 한파가 닥치기 전에 사육지 면적의 1% 이상을 확보하여 월동장을 설치해야 합니다.
육상 양식장에는 방풍 망을 설치하는 등 보온장비를 미리 확보해야 합니다.
장기 기상예보를 알아두고 한파피해가 예상될 때는 양식어류를 조기 출하하여 피해를 예방합시다.
기상상황을 수시로 확인하여 한파가 예상될 때는 수면의 높이를 높게 하고 어류를 월동장으로 집어하여 동사를 방지해야 합니다.
어류가 동사하면 냉동 저장하여 판매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고, 피해 발생 시에는 행정기관에 신속하게 신고해야 합니다.
9. 전기사용 때는

과도한 전열기기 사용을 금지하고, 인화물질을 전열기 부근에 두지 않아야 합니다.
대단위 아파트 단지 등에서는 전열기를 사용할 때 1시간 사용 후 15분 휴식을 생활화하여 변압기의 과부하를 방지해야 합니다.
하나의 콘센트에 다시 여러 개의 콘센트를 연결하는 등 과도한 플러그(문어발식) 사용은 금지해야 합니다.
전기 고장 시 즉시 한전 또는 한국전기안전공사(1588-7500)에 신고하고 개인이 임의 조작하지 맙시다.
퓨즈는 반드시 정품을 사용하고 구리선 등을 멋대로 사용하지 맙시다.
10. 가스시설 관리는

가스 잔량을 확인하고자 용기를 뜨거운 물에 담그거나 가열하는 행위는 금지합시다.
LPG 싸이폰용기(LPG기체와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용기)는 반드시 기화기가 설치된 시설에서만 사용합시다.
LP가스 사용 시, 이상이 발견되면 가스공급자에 연락하여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가스보일러 사용 전에 환기구나 배기통이 막혀있는지 확인합시다.
비눗물 등으로 호스·배관 연결부와 같은 이음부의 가스 누출 여부를 수시로 점검합시다.
11. 유류시설 관리는

급격한 기온강하로 인한 동파예방을 위해 유류이송배관은 물 빼기 작업을 충분히 하고 부동액을 주입합니다.
장치의 동파 때문에 위험물질의 누출, 화재․폭발, 가스중독 등의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련시설을 보온 조치합시다.
12. 광산에서는

갱 외 주요시설의 노출된 배관에는 보온재, 열선 등을 사용하여 동파를 방지합시다.
진입로, 운반도로 등에는 모래주머니, 염화칼슘 등을 비치하여 빙판길에 대비합시다.
한파 대비용 기자재는 사전점검을 철저히 하여 사용 가능 상태로 유지합시다.
13. 지역난방 시설은

열원시설
► 겨울철 동파를 대비해 시설물을 관리하고 상태를 점검합시다.
► 눈피해와 동파를 대비해 복구용 장비 작동상태를 점검합시다.
► 자동화재 탐지설비 동작 상태를 점검합시다.
사용자 시설(지역난방)
► 동파방지를 위해 난방온수 분배기 입구의 세대별(관리) 밸브를 잠그지 말아야 합니다.
► 온도조절기 고장 시 난방온수 분배기로 조정하고, 즉시 수리․교체해야 합니다.
► 난방 배관 내 공기빼기 밸브를 열어 공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14. 승강기에서는

승강기 기계실의 적정 온도 유지를 위하여 기계실 창문 유리의 파손 여부 및 개구부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여 손상 시 교체합시다.
피트(최하층 아래의 승강로)의 방수상태를 확인하여 손상 시 교체합시다.
승강장 및 카 바닥 물청소 후 얼음이 얼어 미끄러짐 사고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합니다.
승강기의 운행을 장시간 멈췄다 다시 사용할 때, 충분한 예비운전으로 안전 여부를 확인한 후 운행을 시작합시다.
한파시 정전대비 방법은?

손전등, 라디오, 온열기 등을 준비합시다.
정전이 되면 아파트 관리사무소나 한국전력(국번 없이 123)에 신고합시다.
Insert title here